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원자는 99.9% 비어있는데, 왜 세상은 가득 찬 걸까?

by execode 2025. 4. 30.

🌌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? 텅 빈 원자의 세계 🧪

우리가 보고, 만지고, 느끼는 세상은 꽉 차 보입니다. 🌍 하지만 물리학자의 눈으로 보면, 이 세상은 놀라울 정도로 텅텅 비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. 밤하늘의 우주를 봐도, 우리 몸을 이루는 물질을 들여다봐도, 그 속은 대부분 빈 공간입니다.

그렇다면 도대체 세상은 어떤 것들로 이루어져 있는 걸까요? 그 해답은 바로 ‘원자(atom)’에 있습니다.

🔬 원자란 무엇일까?

'아톰(atom)'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됐습니다. ‘자를 수 없다’는 뜻을 가진 이 단어는, 물질을 계속해서 잘라 들어가다 보면 더 이상 자를 수 없는 최소 단위에 도달하게 된다는 개념에서 비롯됐습니다. 바로 그 단위가 원자예요.

💡 머리카락 하나의 두께에 원자를 나란히 놓으면 무려 100만 개가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작습니다.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지만, 이 원자들이 모여 우리의 몸, 지구, 그리고 우주를 구성하고 있습니다.

🧪 화학자들의 직관, 원자의 단서를 찾다

물리학자가 원자의 존재를 증명하기 전, 화학자들은 먼저 그 가능성을 눈치챘습니다. 수소 기체 2리터와 산소 기체 1리터를 반응시키면, 수증기 2리터가 생긴다는 법칙 같은 것이 그것이죠.

📐 이처럼 화학반응은 항상 일정한 정수 비율로 일어납니다. 이를 설명하려면 물질 안에 일정한 개수의 ‘알갱이’가 있다는 가정이 필요했고, 그렇게 분자와 원자라는 개념이 생겨났습니다.

⚛️ 전자의 발견과 톰슨의 원자 모형

물리학자 톰슨은 진공관 실험을 통해 전자를 발견했습니다. 전자는 음전하를 띠고 있어요. 그래서 그는 원자 안에도 이를 상쇄하는 양전하가 고르게 퍼져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죠.

🍞 그는 원자를 식빵에 박힌 건포도에 비유했습니다. 전자는 건포도, 식빵 부분은 양전하가 골고루 퍼진 부분이었던 거예요. 이를 '톰슨의 푸딩 모형'이라고 부릅니다.

🧲 러더포드의 실험과 원자핵의 발견

러더포드는 금박 실험을 통해 대부분의 알파 입자가 그대로 통과하지만, 일부는 튕겨 나가는 현상을 발견했어요. 🧪 이 실험을 통해 그는 원자의 중심에 작고 무거운 원자핵이 존재한다고 결론 내립니다.

📌 전자는 이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, 그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는 진공 상태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.

☁️ 전자는 구름처럼 퍼져 있다?

현대 물리학에서는 전자가 고정된 궤도를 도는 것이 아니라, 마치 구름처럼 확률적으로 퍼져 있는 상태라고 설명합니다. 이 개념은 양자역학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, 원자의 구조를 한층 더 정확히 보여줍니다.

🌠 원자는 얼마나 텅텅 비어 있을까?

원자핵을 골프공 크기로 확대하면, 전자는 몇 km 떨어진 거리에서 존재합니다. 잠실 야구장에 야구공이 원자핵이라면, 서울 시청쯤에 전자가 있는 셈이죠.

📏 그만큼 원자는 대부분 빈 공간입니다. 게다가 전자의 ‘크기’는 현대 물리학에서 0으로 간주되기 때문에, 원자는 ‘점과 점 사이의 진공’이라고 할 수 있어요.

🪐 원자를 누르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?

만약 원자에 엄청난 압력을 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? 처음에는 전자들끼리 서로 밀어내는 힘, 즉 축퇴압(degeneracy pressure)이 생깁니다. 이것이 바로 백색왜성(white dwarf)의 특징입니다.

⚛️ 더 큰 압력이 가해지면, 전자와 양성자가 결합해 중성자가 되고, 모든 물질이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상태, 즉 중성자별(neutron star)이 됩니다. 이때의 밀도는 물의 1조 배 이상입니다.

💥 그리고 더 누르면? 결국 블랙홀이 되는 거죠.

👥 인류를 중성자 별처럼 압축하면?

지구에 약 100억 명이 살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 이 사람들을 모두 중성자별 밀도로 압축하면, 1cm 크기의 자갈 하나 정도에 모든 인류가 들어가게 됩니다. 상상만 해도 놀랍지 않나요?

🌌 우리는 ‘텅 빈 공간’ 사이에서 존재한다

원자 내부도, 우주도 대부분은 빈 공간입니다. 인간의 몸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고, 우주는 별들 사이의 텅 빈 공간으로 채워져 있습니다.

🎈 어쩌면 우리는 정말로, 텅 빈 커다란 우주와 텅 빈 작은 우주 사이에서 아슬아슬하게 존재하고 있는 건지도 모릅니다.